아마존 직구 하는 방법, 아마존 직구를 해보자, 아마존 직구 영문주소 입력 방법을 알아보자


갈수록 직구를 활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그걸 알기에 아마존에서도 한국 직구가 되는 물품은 표기를 해준다.


달러가 비싸긴하나 블랙 프라이데이 등을 활용해서 가전제품 등을 구매한다면 국내 할인제품들보다 훨씬 싸게 살 수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럼 아마존 직구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1. 일단 아마존 사이트에 들어간다.


아마존 - https://www.amazon.com/ref=nav_logo




2. 아마존 회원가입을 한다


당근빳다 물건을 구매 하려면 회원 가입을 해야 한다.


영알못 친구들을 위해 사진을 첨부했다.





3. 계정을 만들었다면 원하는 물건을 장바구니에 담자


한국 배송이 안되는 제품들도 있다.


우측 바에 보면 표기가 되므로 참고하고 한국에 배송이 되는 제품들만 사도록 하자.


당연히 한국 쇼핑몰들과 가격비교도 필수다.


원으로 바꿔도 달러 비율 맞춰서 결제가 되니 환율을 보고 계산기를 두들겨봐야 한다


안그럼 안하느니 못한 수준으로 더 비싸게 사는 경우가 나온다.




4. 사용할 배송 주소를 입력 하자


보통 양식이 3가지로 나온다.


가입할때 배송주소를 입력하는 경우도 있고 

물건 살때서야 배송주소를 입력하라는 경우가 있고

본인이 직접 자주 사용할 배송주소를 추가하는 경우다


세번째의 경우는 창이 이렇게 생겼다.


상단에 내 정보를 들어가서 사용할 주소를 추가하면 된다. (못 찾겠다면 크롬이나 파폭등에서 지원하는 화면 번역을 사용 하도록 하자)





그럼 이제 주소를 입력해보자


역시 혹시 영알못 친구들을 위해 사진을 첨부해놨으니 보고 쓰면 된다. 양식이 두개여서 두개 다 올렸다.


기본적으로 한국어 양식은 제공되지 않고 크롬 파폭등의 번역을 활용해야된다.


어느 양식에 쓰던 차이는 없다.




한글로 쓰지말고 영어로 써야 한다.


영어 주소는 어떻게 쓰나요?


네이버에 영어 주소 검색을 사용하면 다 나오니 복사 붙여넣기를 활용하도록 하자.


혹시 못 찾을까봐 링크 넣어둔다.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sm=top_hty&fbm=1&ie=utf8&query=%EC%98%81%EC%96%B4%EC%A3%BC%EC%86%8C


주소까지 입력했다면 거의 다 왔다.


마지막으로 구매를 하면 이러한걸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5.customs ID number 가 뭔가요?





customs ID number 가 뭔가요?

 - 개인 통관번호다.


어디서 발급 받나요?

 - 통관센터였나 네이버에 검색하면 발급 받을 수 있다.

발급받는데 3분도 안걸리니 발급 받아서 적도록 하자.


개인통관 번호까지 입력했다면 길고 긴 과정이 끝났다.


구매 버튼을 누르고 7~14일 정도 기다리면 된다.


국체 택배 상황에 따라서 조금 더 지연 될 수 있고 보통 빨리 오는 경우는 7~10일 정도 걸린다.


우체국 택배를 통해 오며 우리나라 통관 (개인통관)을 넘어서 우체국 택배로 인계되는 경우 연락이오니 잘 넘어왔구나 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물품을 기다리면 된다.



다들 좋은 쇼핑이 되길 바란다.

이상 아마존 직구하는 방법편 이였다.

+ Recent posts